청소년이 범죄를 저질렀는데 형사처벌을 받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바로 형법 제9조에 따른 형사미성년자, 즉 만 14세 미만일 때입니다. 하지만 형사처벌을 받지 않는다고 해서 아무런 처분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소년법에 따른 '보호처분'이 따로 존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형사 미성년자 보호처분의 모든 것을 정리해드립니다.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법률상담 예약 신청하기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법률상담 법률 문제로 고민이신가요? 대한법률구조공단에서 무료로 법률상담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민사소송, 임대차, 개인회생 등 다양한 법률 문제에 대해 전문적인
goo.actlaw89.com
형사 미성년자란?
형법 제9조에 따르면,
“14세 되지 아니한 자의 행위는 벌하지 아니한다.”
즉, 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아무리 중대한 범죄를 저질렀더라도 형사처벌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이 경우는 형사사건이 아닌 ‘소년보호사건’으로 전환되어, 가정법원에서 보호처분을 받게 됩니다.
소년법상 보호처분이란?
보호처분이란 소년범(형사 미성년자 포함)에 대해 형벌이 아닌 보호 위주의 처분을 내리는 것을 말합니다.
✅ 목적: 소년의 건전한 성장과 사회 복귀
✅ 대상: 주로 만 10세 이상 ~ 만 14세 미만의 형사미성년자
보호처분 종류|소년법 제32조 기준
법원이 선고할 수 있는 보호처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1호 | 보호자 또는 그 위탁을 받은 자의 감호 위탁 |
2호 | 보호관찰소의 보호관찰 |
3호 | 수강명령 또는 사회봉사명령 |
4호 | 소년분류심사원 위탁 (최장 1개월) |
5호 | 병원, 요양소, 보호시설 등에 위탁 |
6호 | 소년원 송치 (6개월 이하) |
7호 | 소년원 송치 (1년 이하) |
8호 | 소년원 송치 (2년 이하) |
10호 | 검사 송치 (형사처벌 대상인 경우) |
🔸보통 형사미성년자는 1호~6호 사이의 처분을 받는 경우가 많고,
강력범죄일 경우 8호(소년원 2년 송치) 처분까지도 가능합니다.
형사 미성년자 보호처분 절차
- 범죄 발생 및 경찰 조사
- 형사미성년자 판단 (만 14세 미만 확인)
- 소년부 송치 (검찰 → 가정법원)
- 조사관 면담 및 심리조사
- 소년보호재판
- 보호처분 선고
✔ 모든 보호처분은 형벌이 아니며 전과기록으로 남지 않습니다.
보호처분 실제 사례
사례 ① 절도 행위(편의점에서 담배 훔친 만 13세)
- 경찰 조사 → 형사미성년자 확인
- 소년부 송치 → 2호 보호관찰 + 3호 사회봉사명령
사례 ② 중학생 폭행 사건
- 친구에게 상해 입힌 만 12세
- 소년분류심사원 위탁(4호) + 소년원 송치(6호) 병합 선고
사례 ③ 방화 사건(만 13세)
- 쓰레기통에 불 질러 소방 출동
- 8호 소년원 2년 송치 처분
보호처분과 형사처벌의 차이점
항목 | 보호처분 | 형사처벌 |
대상 | 주로 만 14세 미만 | 만 14세 이상 |
목적 | 교화·교육 | 처벌·응징 |
재판기관 | 가정법원 소년부 | 형사법원 |
전과기록 | ❌ 없음 | ✅ 있음 |
정리: 형사미성년자 보호처분 핵심 요약
- 형사미성년자(만 14세 미만)는 형벌이 아닌 소년법상 보호처분 대상
- 보호처분은 1호~8호까지 존재, 심각한 경우 소년원 송치 가능
- 보호처분도 재판이므로 정식 절차와 대응 필요
- 전과는 남지 않지만 가정법원 기록으로는 존재
형사 미성년자 보호처분은 단순히 “처벌을 피했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정확한 법적 대응과 상담이 필요한 절차입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거나, 법률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함께보면 도움되는 글
무고죄란? 형법 제156조 성립요건과 처벌 수위 총정리
최근 허위 신고나 거짓 고소를 통해 타인을 곤란하게 만드는 사건이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한 거짓말이 아니라, 형법에서 규정한 ‘무고죄’에 해당하며, 엄
job.actlaw89.com
명예훼손죄 성립요건과 처벌 기준(형법 제307조)
형법 제307조는 타인의 명예를 보호하기 위한 조항으로, 사실 적시든 허위사실이든 불특정 다수에게 알려지면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법률 조항입니다. 특히 인터넷, SNS, 블로
job.actlaw89.com
형법 제260조 폭행죄 및 존속폭행죄, 성립요건과 처벌
폭행죄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범죄 중 하나입니다. 특히, 가족 간의 분쟁이나 갈등에서 발생하는 존속폭행죄는 일반 폭행보다 더 무겁게 처벌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형법 제260조에 따른 폭
job.actlaw89.com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직권남용은 공무원이 자신의 직무 권한을 남용하여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러한 행위는 법적으로 매우 심각하
job.actlaw89.com
공무집행방해죄란? 형법 제136조의 성립요건과 처벌 정리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던 중 폭행이나 협박을 받는 사건은 언론에서도 종종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 폭행이 아닌 ‘공무집행방해죄’라는 독립된 범죄로 엄중히 처벌됩니다.
job.actlaw8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