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폭행죄 상해죄: 둘의 차이와 처벌 수위, 반드시 알아야 할 기준

by report89 2025. 7. 2.
반응형
“폭행죄와 상해죄는 어떻게 다르죠?”
“같이 싸웠는데 누구는 폭행죄, 누구는 상해죄 처벌을 받더라고요”


실제로 많은 분들이 폭행죄와 상해죄의 차이를 헷갈려 합니다. 두 범죄는 모두 신체에 대한 불법적 행위라는 점에서 비슷하지만, 결정적인 차이는 ‘상해 결과의 유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폭행죄 상해죄’를 키워드로, 두 범죄의 구성요건 차이, 형량 비교, 처벌 수위, 실제 적용 예시를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설명해드립니다.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 상담신청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법률상담 예약 신청하기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법률상담 법률 문제로 고민이신가요? 대한법률구조공단에서 무료로 법률상담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민사소송, 임대차, 개인회생 등 다양한 법률 문제에 대해 전문적인

goo.actlaw89.com

 


폭행죄 vs 상해죄 – 차이점 비교표

구분 폭행죄 (형법 제260조) 상해죄 (형법 제257조)
행위 유형 단순한 신체 접촉, 폭행 행위 폭행 등으로 인해 실제 상해 결과 발생
결과 발생 결과 불문 (피해자가 다치지 않아야 함) 치료 요하는 상해 또는 정신적·신체적 손상 발생
처벌 수위 2년 이하 징역, 500만 원 이하 벌금  7년 이하 징역, 10년 이하의 자격정지 또는 1천만 원 이하 벌금
친고죄 여부 ❌ (2021년 이후 반의사불벌죄 폐지) ❌ (피해자 의사와 관계없이 수사 가능)
전과 영향 벌금형 포함 형사처벌 기록 남음 형량 무겁고 실형 가능성 높음

  


형법상 조문 정리

🔹 형법 제260조 (폭행죄)

사람을 폭행한 자는 2년 이하의 징역, 500만 원 이하의 벌금, 구류 또는 과료에 처한다.

🔹 형법 제257조 (상해죄)

사람의 신체를 상해한 자는 7년 이하의징역, 10년 이하의 자격정지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 즉, 단순 폭행은 경범죄로 처리되기도 하지만, 피해자가 병원 치료를 요할 정도로 다쳤다면 '상해죄'로 전환되며 처벌이 훨씬 무거워집니다.


상해죄가 인정되는 ‘상해의 기준’은?

법원은 다음과 같은 상태를 상해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 타박상, 찰과상, 출혈 등 외형상 부상
  • 병원 치료가 필요한 통증
  • 치아 파절, 골절, 관절 손상
  • 정신적 이상 증세 (외상후스트레스 등 포함)

✅ 즉, 단순히 때렸다는 행위만으로는 폭행죄에 불과하지만, 상대가 “병원 진단서”를 제출하면 상해죄로 판단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폭행죄와 상해죄 실제 형량 예시

사례 유형 적용 죄명 형량 결과
손으로 밀침, 찰과상 없음 폭행죄 벌금 50~100만 원
얼굴 타박상, 병원 1주 진단 상해죄 벌금 150~300만 원
주먹으로 안면 가격, 치아 손상 상해죄 징역 6~10개월, 집행유예 가능
흉기 사용 + 갈비뼈 골절 특수상해죄 징역 1년 이상 실형 가능성 있음

  


합의 여부에 따른 차이

  • 폭행죄/상해죄 모두 2021년 형법 개정으로 더 이상 반의사불벌죄 아님
  • 따라서 피해자가 처벌을 원하지 않아도 수사 및 처벌 가능
  • 하지만 합의 및 처벌불원 진술기소유예·벌금형·집행유예 등의 감형 요인

폭행죄와 상해죄 구별의 핵심 요약

  1. 행위는 같아도 결과가 다르면 죄명이 바뀐다.
  2. 피해자가 다쳤다면 무조건 상해죄 가능성 있음.
  3. 상해죄는 형량이 훨씬 무겁고 실형 위험도 높음.
  4. 진단서가 있느냐 없느냐가 사실상 핵심 쟁점.

처벌 줄이려면?

피해자와 합의 처벌불원서 확보는 핵심 전략
반성문·진정서 제출 선처 가능성 높임
변호사 조력 받기 상해 여부 다툴 수 있는 법리 검토 필요
초범임을 강조 기소유예, 벌금형 가능성↑

결론 요약

  • 폭행죄 상해죄는 결과의 유무에 따라 죄명이 바뀌고, 형량 또한 큰 차이가 납니다.
  • 단순 폭행은 벌금형으로 끝날 수 있지만, 상해죄는 실형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 진단서 유무, 피해자의 입장, 피의자의 태도에 따라 결과는 달라집니다.

📌 특히 폭행인지 상해인지 경계가 애매한 경우, 법률 전문가의 조력을 받아 형을 낮출 수 있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폭행죄 상해죄, 폭행죄 상해죄 차이, 폭행과 상해의 구별, 상해죄 형량, 상해죄 진단서, 폭행죄 합의, 상해죄 초범, 형법 제260조, 형법 제257조, 폭행 상해 차이, 진단서 있는 폭행


함께보면 도움되는 글

 

무고죄란? 형법 제156조 성립요건과 처벌 수위 총정리

최근 허위 신고나 거짓 고소를 통해 타인을 곤란하게 만드는 사건이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한 거짓말이 아니라, 형법에서 규정한 ‘무고죄’에 해당하며, 엄

job.actlaw89.com

 

명예훼손죄 성립요건과 처벌 기준(형법 제307조)

형법 제307조는 타인의 명예를 보호하기 위한 조항으로, 사실 적시든 허위사실이든 불특정 다수에게 알려지면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법률 조항입니다. 특히 인터넷, SNS, 블로

job.actlaw89.com

 

형법 제260조 폭행죄 및 존속폭행죄, 성립요건과 처벌

폭행죄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범죄 중 하나입니다. 특히, 가족 간의 분쟁이나 갈등에서 발생하는 존속폭행죄는 일반 폭행보다 더 무겁게 처벌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형법 제260조에 따른 폭

job.actlaw89.com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직권남용은 공무원이 자신의 직무 권한을 남용하여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러한 행위는 법적으로 매우 심각하

job.actlaw89.com

 

공무집행방해죄란? 형법 제136조의 성립요건과 처벌 정리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던 중 폭행이나 협박을 받는 사건은 언론에서도 종종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 폭행이 아닌 ‘공무집행방해죄’라는 독립된 범죄로 엄중히 처벌됩니다.

job.actlaw89.com

폭행죄 상해죄: 둘의 차이와 처벌 수위, 반드시 알아야 할 기준
폭행죄 상해죄: 둘의 차이와 처벌 수위, 반드시 알아야 할 기준
폭행죄 상해죄: 둘의 차이와 처벌 수위, 반드시 알아야 할 기준폭행죄 상해죄: 둘의 차이와 처벌 수위, 반드시 알아야 할 기준폭행죄 상해죄: 둘의 차이와 처벌 수위, 반드시 알아야 할 기준
폭행죄 상해죄: 둘의 차이와 처벌 수위, 반드시 알아야 할 기준
폭행죄 상해죄: 둘의 차이와 처벌 수위, 반드시 알아야 할 기준폭행죄 상해죄: 둘의 차이와 처벌 수위, 반드시 알아야 할 기준폭행죄 상해죄: 둘의 차이와 처벌 수위, 반드시 알아야 할 기준
폭행죄 상해죄: 둘의 차이와 처벌 수위, 반드시 알아야 할 기준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

<-----티스토리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