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상담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촉법소년 형사처벌 가능할까?|2025년 기준 법적 해설

by report89 2025. 7. 27.
반응형

최근 청소년 범죄가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면서, 많은 분들이 "촉법소년도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나요?"라는 질문을 하곤 합니다.

오늘은 촉법소년의 형사처벌 가능 여부보호처분, 제도 개편 논의까지 2025년 기준으로 정확히 정리해드립니다.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 상담신청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법률상담 예약 신청하기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법률상담 법률 문제로 고민이신가요? 대한법률구조공단에서 무료로 법률상담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민사소송, 임대차, 개인회생 등 다양한 법률 문제에 대해 전문적인

goo.actlaw89.com

 


촉법소년이란?

촉법소년(觸法少年)은
형법에 저촉되는 범죄를 저질렀지만 형사 미성년자에 해당해 처벌할 수 없는 자를 의미합니다.

  • 🔹 법적 기준: 만 10세 이상 ~ 만 14세 미만
  • 🔹 법적 근거: 소년법 제4조 1항 2호
  • 🔹 형사처벌 여부: ❌ 불가능

즉, 촉법소년은 범죄를 저질러도 징역, 벌금 등 형벌을 받을 수 없고, 대신 가정법원 소년부에서 보호처분을 받게 됩니다.


촉법소년 형사처벌 가능할까?

형사미성년자 만 14세 미만 ❌ 형사처벌 불가
촉법소년 만 10세 이상 ~ 14세 미만 ❌ 형사처벌 불가
형사책임 인정 연령 만 14세 이상 ⭕ 형사처벌 가능

✅ 결론: 촉법소년은 형사처벌을 받을 수 없습니다.
형법 제9조에 따라 만 14세 미만은 형사미성년자로 규정되기 때문입니다.


촉법소년은 아무 처벌도 안 받나요?

아닙니다.
촉법소년도 반드시 소년법상 보호처분을 받습니다.
이는 형벌과는 다른 절차지만, 상당히 강력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보호처분 유형

1호 보호자 책임 하의 보호관찰
5호 소년분류심사원 위탁
6호 소년원 송치 (최장 6개월)
10호 장기 보호관찰 + 교육명령 병행

📝 형사처벌은 아니지만, 소년원 송치도 실질적인 구금처분으로 매우 엄격한 조치입니다.


촉법소년 형사처벌 제도 개편 논의

청소년 강력범죄 증가로 인해,
정부와 정치권은 촉법소년 형사처벌 가능 연령 하향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추진 방향 형사처벌 가능 연령을 만 13세로 하향 검토
주요 근거 잔혹한 범죄 수법, 범죄 연령 하향 추세
반대 논리 발달 단계상 아직 판단 능력 부족, 교화 우선 필요

2025년 현재까지는 기존 연령 기준(만 14세 미만 형사처벌 불가)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실제 사례로 보는 촉법소년

  • 사례①: 만 13세가 동급생을 폭행해 실신시킴 → 형사처벌 ❌, 보호관찰 6개월
  • 사례②: 만 11세가 차량 절도 → 보호자 책임 하 보호관찰
  • 사례③: 만 12세가 절도 반복 → 6호 처분, 소년원 송치

형벌은 아니지만 보호처분도 무거운 법적 제재입니다.


결론: 촉법소년 형사처벌은 안되지만 처분은 있다

  • 촉법소년은 형법상 형사처벌은 불가능
  • 그러나 소년법상 보호처분으로 처벌받을 수 있음
  • 보호처분은 경미한 지도부터 소년원 송치까지 다양
  • 형사처벌 연령 하향 논의는 진행 중이나 2025년 기준 변화 없음

 

📢 요약:
촉법소년이라도 죄를 지으면 처분은 피할 수 없습니다.
다만 형사처벌이 아닌 ‘보호처분’이라는 제도를 통해 교화와 재사회화를 우선한다는 점에서 성인 범죄자와는 구별됩니다.

👉 부모와 청소년 모두 촉법소년 제도와 처분의 실체를 제대로 이해해야 합니다.

함께보면 도움되는 글

 

무고죄란? 형법 제156조 성립요건과 처벌 수위 총정리

최근 허위 신고나 거짓 고소를 통해 타인을 곤란하게 만드는 사건이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한 거짓말이 아니라, 형법에서 규정한 ‘무고죄’에 해당하며, 엄

job.actlaw89.com

 

명예훼손죄 성립요건과 처벌 기준(형법 제307조)

형법 제307조는 타인의 명예를 보호하기 위한 조항으로, 사실 적시든 허위사실이든 불특정 다수에게 알려지면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법률 조항입니다. 특히 인터넷, SNS, 블로

job.actlaw89.com

 

형법 제260조 폭행죄 및 존속폭행죄, 성립요건과 처벌

폭행죄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범죄 중 하나입니다. 특히, 가족 간의 분쟁이나 갈등에서 발생하는 존속폭행죄는 일반 폭행보다 더 무겁게 처벌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형법 제260조에 따른 폭

job.actlaw89.com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직권남용은 공무원이 자신의 직무 권한을 남용하여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러한 행위는 법적으로 매우 심각하

job.actlaw89.com

 

공무집행방해죄란? 형법 제136조의 성립요건과 처벌 정리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던 중 폭행이나 협박을 받는 사건은 언론에서도 종종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 폭행이 아닌 ‘공무집행방해죄’라는 독립된 범죄로 엄중히 처벌됩니다.

job.actlaw89.com

촉법소년 형사처벌 가능할까?|2025년 기준 법적 해설
촉법소년 형사처벌 가능할까?|2025년 기준 법적 해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

<-----티스토리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