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차량 재물손괴죄|고의로 자동차를 훼손하면 형사처벌 받습니다

by report89 2025. 7. 23.
반응형

누군가 내 차를 긁거나, 유리를 깨거나, 타이어를 펑크냈다면? 이는 단순한 민사 손해배상을 넘어, 형법상 재물손괴죄에 해당될 수 있는 중대한 범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차량을 훼손했을 때 재물손괴죄가 성립하는 요건, 처벌 수위, 공소시효, 합의 여부까지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 상담신청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법률상담 예약 신청하기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법률상담 법률 문제로 고민이신가요? 대한법률구조공단에서 무료로 법률상담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민사소송, 임대차, 개인회생 등 다양한 법률 문제에 대해 전문적인

goo.actlaw89.com

 


차량 재물손괴죄란?|형법 제366조

형법 제366조(재물손괴 등)
타인의 재물, 문서 또는 전자기록 등 특수매체기록을 손괴 또는 은닉 기타 방법으로 그 효용을 해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7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1995.12.29]

자동차도 타인의 재물에 해당하므로, 이를 고의로 파손하면 재물손괴죄로 처벌받게 됩니다.


차량 재물손괴죄 성립 요건

1. 타인의 재물 해당 차량이 타인의 소유여야 함
2. 손괴 또는 효용 해함 긁기, 타이어 펑크, 유리 파손, 도색 훼손 등 모두 포함
3. 고의성 우발적이 아닌 의도적인 행위여야 성립

✅ 참고: 효용을 해친 경우도 포함되므로, 차량이 물리적으로 망가지지 않더라도
“정상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보기 싫게 훼손”되었다면 성립 가능


이런 사례도 재물손괴죄!

  • 차량에 스크래치를 낸 경우
  • 주차된 차량의 사이드미러를 부순 경우
  • 타이어에 구멍을 낸 경우
  • 자동차 유리에 고의로 낙서하거나 스프레이 도색한 경우
  • 도장 위에 테이프 등을 붙여 흔적을 남긴 경우

모두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차량 재물손괴죄 처벌 수위

법정형 3년 이하 징역 또는 700만 원 이하 벌금
기소유예 가능성 초범, 경미한 손상, 반성 및 합의 시
합의 여부 합의가 성립되면 감경 또는 선처 가능
상습 범행 시 집행유예 또는 실형 선고 가능성 존재

차량 재물손괴죄 공소시효

  • 일반 공소시효: 7년 (형사소송법 기준)
  • 손괴 당시부터 7년 이내에 고소, 수사가 개시되지 않으면 공소권 없음

합의 없이도 처벌 가능?

재물손괴죄는 반의사불벌죄가 아니므로, 피해자와 합의하지 않더라도 수사기관이 인지해 기소 가능합니다.
즉, 고소를 취하해도 수사는 계속될 수 있으며, 처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마무리 및 결론

차량 재물손괴죄는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되는 형사 범죄입니다. 일시적인 분노로 차량을 파손하거나, 보복 차원에서 손괴했다면 형사처벌은 물론 손해배상 책임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억울하게 고소당했거나, 가벼운 실수로 처벌받게 될 상황이라면 반드시 형사전문 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조기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함께보면 도움되는 글

 

무고죄란? 형법 제156조 성립요건과 처벌 수위 총정리

최근 허위 신고나 거짓 고소를 통해 타인을 곤란하게 만드는 사건이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한 거짓말이 아니라, 형법에서 규정한 ‘무고죄’에 해당하며, 엄

job.actlaw89.com

 

명예훼손죄 성립요건과 처벌 기준(형법 제307조)

형법 제307조는 타인의 명예를 보호하기 위한 조항으로, 사실 적시든 허위사실이든 불특정 다수에게 알려지면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법률 조항입니다. 특히 인터넷, SNS, 블로

job.actlaw89.com

 

형법 제260조 폭행죄 및 존속폭행죄, 성립요건과 처벌

폭행죄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범죄 중 하나입니다. 특히, 가족 간의 분쟁이나 갈등에서 발생하는 존속폭행죄는 일반 폭행보다 더 무겁게 처벌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형법 제260조에 따른 폭

job.actlaw89.com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직권남용은 공무원이 자신의 직무 권한을 남용하여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러한 행위는 법적으로 매우 심각하

job.actlaw89.com

 

공무집행방해죄란? 형법 제136조의 성립요건과 처벌 정리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던 중 폭행이나 협박을 받는 사건은 언론에서도 종종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 폭행이 아닌 ‘공무집행방해죄’라는 독립된 범죄로 엄중히 처벌됩니다.

job.actlaw89.com

차량 재물손괴죄|고의로 자동차를 훼손하면 형사처벌 받습니다
차량 재물손괴죄|고의로 자동차를 훼손하면 형사처벌 받습니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

<-----티스토리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