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권남용죄 형량은 공무원 비위 사건에서 자주 문제가 되는 주제입니다. 특히, 검찰·경찰·교사·군인·지자체 공무원 등 직무권한을 가진 사람의 행동이 법적 한계를 넘을 경우 형사처벌 대상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직권남용죄 형량, 형법 조문, 성립요건, 실제 판례, 감경 여부 등 꼭 알아야 할 핵심 내용을 정리해드립니다.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법률상담 예약 신청하기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법률상담 법률 문제로 고민이신가요? 대한법률구조공단에서 무료로 법률상담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민사소송, 임대차, 개인회생 등 다양한 법률 문제에 대해 전문적인
goo.actlaw89.com
형법 제123조 직권남용죄 – 조문 내용
제123조 (직권남용)
공무원이 직권을 남용하여 사람에게 의무 없는 일을 하게 하거나,
사람의 권리행사를 방해한 때에는
5년 이하의 징역, 10년 이하의 자격정지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1995.12.29]
📌 처벌은 징역형뿐 아니라 자격정지·벌금형도 병과될 수 있습니다.
직권남용죄의 성립요건
공무원 신분 | 형법상 직권남용죄는 공무원만이 범할 수 있음 |
직권의 존재 | 법령 등에 의해 부여된 ‘실질적 권한’이어야 함 |
직권의 남용 | 권한을 본래 목적과 달리 사용한 경우 |
침해의 결과 | 타인에게 의무 없는 일을 강요하거나 권리행사를 방해함 |
※ 예:
- 경찰관이 압수수색권을 남용해 강제 조사
- 상급자가 부하에게 불법적 업무 지시
- 공공기관이 사적 이익을 위해 특정 계약 강요
직권남용죄 형량 – 처벌 수위
법정형 | 5년 이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 벌금 |
자격정지 | 최대 10년 이하 자격정지 병과 가능 |
선고유예 가능성 | 초범이거나 경미한 경우, 선고유예 가능 |
실형 가능성 | 조직적 남용, 피해자 다수, 사익추구 시 실형 가능 |
📌 징역형과 자격정지형이 동시에 선고될 수도 있으며, 상습적/반복적 남용은 집행유예 없이 실형 가능성도 있습니다.
직권남용죄 실형 선고된 판례 사례
📌 대법원 2019도18470 판결 (법무부 간부 사건)
법무부 간부가 직무 권한을 이용해 하급 공무원에게 부당한 지시를 내리고 인사상 불이익을 준 사건에서
법원은 직권남용죄 성립을 인정하여 징역형을 선고하였습니다.
👉 이 판례는 “실제 권한을 벗어나 인사권을 휘두른 경우” 형사처벌이 가능하다는 대표적인 예입니다.
직권남용죄의 양형 기준
남용의 지속성 | 일회성인지, 반복된 지시인지 |
피해자의 피해 규모 | 경제적·정신적 피해, 명예훼손 여부 등 |
피고인의 지위 | 상급자의 영향력이 클수록 무겁게 처벌 |
반성 여부 | 피해자와의 합의, 반성문 등 선처 요인 |
사회적 파장 | 공공기관 이미지 훼손, 공공성 침해 여부 등 |
직권남용죄 처벌을 줄이려면?
형사처벌을 피하거나 감경받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치가 중요합니다.
- 형사전문 변호사의 조속한 선임
- 피해자와의 진정한 합의 및 사과
- 반성문, 탄원서, 경위서 제출
- 직무상 불가피했던 사정에 대한 소명
- 초범임을 강조하여 집행유예 또는 벌금형 유도
직권남용죄 관련 자주 묻는 질문
Q1. 직권남용죄는 공무원이 아닌 일반인도 처벌받을 수 있나요?
→ 아니요. 공무원만이 이 죄의 주체가 될 수 있습니다.
Q2. 직권남용으로 고소되면 무조건 형사처벌되나요?
→ 아니요. 고의성, 권한의 범위 여부 등이 입증돼야만 기소 및 유죄 판단이 가능합니다.
마무리 – 공무원의 권한은 국민을 위한 것
직권남용죄는 공권력의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범죄 조항입니다. 공무원이 개인의 사익이나 불합리한 이유로 권한을 행사하면, 5년 이하 징역 또는 벌금형의 무거운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권력은 책임을 수반하며, 정당한 절차와 목적 없이 행사되는 공무는 ‘남용’으로 처벌될 수 있음을 항상 유념해야 합니다.
함께보면 도움되는 글
무고죄란? 형법 제156조 성립요건과 처벌 수위 총정리
최근 허위 신고나 거짓 고소를 통해 타인을 곤란하게 만드는 사건이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한 거짓말이 아니라, 형법에서 규정한 ‘무고죄’에 해당하며, 엄
job.actlaw89.com
명예훼손죄 성립요건과 처벌 기준(형법 제307조)
형법 제307조는 타인의 명예를 보호하기 위한 조항으로, 사실 적시든 허위사실이든 불특정 다수에게 알려지면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법률 조항입니다. 특히 인터넷, SNS, 블로
job.actlaw89.com
형법 제260조 폭행죄 및 존속폭행죄, 성립요건과 처벌
폭행죄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범죄 중 하나입니다. 특히, 가족 간의 분쟁이나 갈등에서 발생하는 존속폭행죄는 일반 폭행보다 더 무겁게 처벌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형법 제260조에 따른 폭
job.actlaw89.com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직권남용은 공무원이 자신의 직무 권한을 남용하여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러한 행위는 법적으로 매우 심각하
job.actlaw89.com
공무집행방해죄란? 형법 제136조의 성립요건과 처벌 정리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던 중 폭행이나 협박을 받는 사건은 언론에서도 종종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 폭행이 아닌 ‘공무집행방해죄’라는 독립된 범죄로 엄중히 처벌됩니다.
job.actlaw8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