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차 스티커 붙이면 재물손괴죄?|형법 제366조 적용 여부 분석

by report89 2025. 7. 23.
반응형

불법 주차 차량에 항의 차원으로 스티커를 부착하거나, 경고문을 유리창에 붙인 경우, 과연 이것이 재물손괴죄에 해당할까?

최근 커뮤니티와 실제 사례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이 질문에 대해, 형법 제366조 재물손괴죄의 적용 가능성과 판례를 중심으로 정리해드립니다.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 상담신청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법률상담 예약 신청하기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법률상담 법률 문제로 고민이신가요? 대한법률구조공단에서 무료로 법률상담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민사소송, 임대차, 개인회생 등 다양한 법률 문제에 대해 전문적인

goo.actlaw89.com

 


재물손괴죄란?|형법 제366조

형법 제366조(재물손괴 등)
타인의 재물, 문서 또는 전자기록 등 특수매체기록을 손괴 또는 은닉 기타 방법으로 그 효용을 해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7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즉, 타인의 재산에 대해 물리적으로 훼손하거나 효용을 떨어뜨리는 행위는 재물손괴죄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주차 스티커 붙이면 재물손괴죄?

① 스티커 부착 행위의 법적 해석

  • 주차된 차량에 스티커를 부착하는 것은 차량 외관에 물리적 흔적을 남기는 행위로 볼 수 있습니다.
  • 특히 떼어낼 때 도장이 벗겨지거나, 강한 접착제로 인해 차량 손상이 발생하면 재물손괴죄 성립 가능성이 큽니다.
  • 단, 피해가 없더라도 효용을 해쳤다면 성립 여지가 있습니다.

② 판례 참고

  • ‘스티커를 떼어내는 과정에서 차량에 흠집 발생’재물손괴죄 성립 인정
  • ‘간단히 제거 가능한 종이 테이프 부착’ → 경미한 경우에는 불기소 또는 기소유예 가능성

실제 처벌 가능성

고의성 타인의 차량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의도적으로 부착했다면 성립 가능
피해 정도 접착제 손상, 도장 벗겨짐 등 있으면 처벌 수위 ↑
처벌 수위 최대 3년 이하 징역 또는 700만 원 이하 벌금
합의 여부 피해자와 합의하면 기소유예나 벌금형 감경 가능

주의해야 할 점

  • 아무리 불법주차가 잘못된 행위라도, 민간인이 차량에 손을 대는 순간 형법 적용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항의 목적이더라도 재산 손상 가능성이 있다면, 관리사무소 신고사진 증거 확보 후 경찰 신고가 현명한 대응입니다.
  • 특히 상습적으로 스티커 부착한 경우 습관적 범행으로 판단돼 형사처벌 가능성 ↑

마무리 및 결론

주차 스티커 재물손괴죄”는 상황에 따라 실제로 형사처벌까지 이어질 수 있는 사안입니다.
스티커 한 장이더라도 차량 소유자의 재산권을 침해한다면, 재물손괴죄로 신고당하거나 고소당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합니다.

억울하게 고소를 당했거나, 이미 조사를 받고 있다면 형사전문 변호사의 상담을 받는 것이 가장 빠르고 안전한 해결책입니다.


함께보면 도움되는 글

 

무고죄란? 형법 제156조 성립요건과 처벌 수위 총정리

최근 허위 신고나 거짓 고소를 통해 타인을 곤란하게 만드는 사건이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한 거짓말이 아니라, 형법에서 규정한 ‘무고죄’에 해당하며, 엄

job.actlaw89.com

 

명예훼손죄 성립요건과 처벌 기준(형법 제307조)

형법 제307조는 타인의 명예를 보호하기 위한 조항으로, 사실 적시든 허위사실이든 불특정 다수에게 알려지면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법률 조항입니다. 특히 인터넷, SNS, 블로

job.actlaw89.com

 

형법 제260조 폭행죄 및 존속폭행죄, 성립요건과 처벌

폭행죄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범죄 중 하나입니다. 특히, 가족 간의 분쟁이나 갈등에서 발생하는 존속폭행죄는 일반 폭행보다 더 무겁게 처벌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형법 제260조에 따른 폭

job.actlaw89.com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직권남용은 공무원이 자신의 직무 권한을 남용하여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러한 행위는 법적으로 매우 심각하

job.actlaw89.com

 

공무집행방해죄란? 형법 제136조의 성립요건과 처벌 정리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던 중 폭행이나 협박을 받는 사건은 언론에서도 종종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 폭행이 아닌 ‘공무집행방해죄’라는 독립된 범죄로 엄중히 처벌됩니다.

job.actlaw89.com

주차 스티커 붙이면 재물손괴죄?|형법 제366조 적용 여부 분석
주차 스티커 붙이면 재물손괴죄?|형법 제366조 적용 여부 분석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

<-----티스토리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