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 방위 긴급피난, 형법 공부할 때 반드시 구별해야 하는 개념입니다. 두 용어는 모두 위법성 조각사유에 속하며,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면 형사처벌을 받지 않습니다. 하지만 정당방위와 긴급피난은 발생 원인과 행위의 성격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헷갈리면 안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정당방위와 긴급피난의 의미, 차이, 사례, 판례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법률상담 예약 신청하기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법률상담 법률 문제로 고민이신가요? 대한법률구조공단에서 무료로 법률상담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민사소송, 임대차, 개인회생 등 다양한 법률 문제에 대해 전문적인
goo.actlaw89.com
형법에서 정당방위·긴급피난 조문
🔹 형법 제21조 (정당방위)
① 현재의 부당한 침해로부터 자기 또는 타인의 법익을 방위하기 위한 행위는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에는 벌하지 아니한다.
② 방위행위가 그 정도를 초과한 경우, 정황에 따라 형을 감경 또는 면제할 수 있다.
③ 야간 등 불안한 상황에서 공포·당황으로 초과한 경우, 벌하지 않는다.
🔹 형법 제22조 (긴급피난)
① 자기 또는 타인의 법익에 대한 현재의 위난을 피하기 위한 행위는 상당한 이유가 있는 때에는 벌하지 아니한다.
② 위난을 피하지 못할 책임이 있는 자에게는 적용하지 않는다.
정당 방위란?
- 사람의 부당한 침해에 대응하는 행위
- 요건
✔ 현재의 부당한 침해
✔ 자기 또는 타인의 법익 보호 목적
✔ 상당한 이유 - 예시: 누군가 칼로 위협할 때, 방어를 위해 반격하는 행위
긴급피난이란?
- 자연적 위험·우연한 위험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타인의 법익을 침해하는 행위
- 요건
✔ 현재의 위난 존재
✔ 자기 또는 타인의 법익 보호 목적
✔ 상당한 이유 - 예시: 불난 건물에서 탈출하기 위해 옆집 창문을 깨는 행위
정당 방위 긴급피난 차이 [비교표]
구분 | 정당방위 | 긴급피난 |
발생 원인 | 사람의 부당한 침해 | 자연적·우연적 위험 |
목적 | 침해 방어 | 위험 회피 |
예시 | 폭행을 막이 위해 반격 | 홍수 피해를 피하기 위해 남의 배 사용 |
대표 판례
- 정당방위 판례
상대방이 칼로 위협하자, 방어 차원에서 주먹을 휘두른 경우 → 정당방위 인정 - 긴급피난 판례
홍수로 인해 다른 사람의 배를 타고 대피한 사건 → 긴급피난 인정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정당방위는 폭행 사건에서도 인정되나요?
→ 네, 상대방의 공격을 막기 위한 최소한의 행위라면 가능합니다.
Q2. 긴급피난은 민사상 책임도 면하나요?
→ 형사책임은 면하지만, 민사상 손해배상책임은 남을 수 있습니다.
핵심 요약
✔ 정당 방위 = 부당한 침해에 대한 방어
✔ 긴급피난 = 자연적·우연적 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한 행위
✔ 둘 다 형법상 위법성 조각사유
✔ 요건 충족 + 과잉행위 금지
함께보면 도움되는 글
무고죄란? 형법 제156조 성립요건과 처벌 수위 총정리
최근 허위 신고나 거짓 고소를 통해 타인을 곤란하게 만드는 사건이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한 거짓말이 아니라, 형법에서 규정한 ‘무고죄’에 해당하며, 엄
job.actlaw89.com
명예훼손죄 성립요건과 처벌 기준(형법 제307조)
형법 제307조는 타인의 명예를 보호하기 위한 조항으로, 사실 적시든 허위사실이든 불특정 다수에게 알려지면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법률 조항입니다. 특히 인터넷, SNS, 블로
job.actlaw89.com
형법 제260조 폭행죄 및 존속폭행죄, 성립요건과 처벌
폭행죄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범죄 중 하나입니다. 특히, 가족 간의 분쟁이나 갈등에서 발생하는 존속폭행죄는 일반 폭행보다 더 무겁게 처벌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형법 제260조에 따른 폭
job.actlaw89.com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직권남용은 공무원이 자신의 직무 권한을 남용하여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러한 행위는 법적으로 매우 심각하
job.actlaw89.com
공무집행방해죄란? 형법 제136조의 성립요건과 처벌 정리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던 중 폭행이나 협박을 받는 사건은 언론에서도 종종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 폭행이 아닌 ‘공무집행방해죄’라는 독립된 범죄로 엄중히 처벌됩니다.
job.actlaw8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