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유이탈물 횡령죄란 무엇일까? 일반적으로 ‘남의 물건을 주웠다’는 행동이 형사처벌 대상이 된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형법 제360조는 타인의 점유를 벗어난 물건에 대해 이를 몰래 차지한 경우를 범죄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법률상담 예약 신청하기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법률상담 법률 문제로 고민이신가요? 대한법률구조공단에서 무료로 법률상담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민사소송, 임대차, 개인회생 등 다양한 법률 문제에 대해 전문적인
goo.actlaw89.com
점유이탈물 횡령죄 법 조문
형법 제360조 (점유이탈물횡령)
① 유실물, 표류물 또는 타인의 점유를 이탈한 재물을 횡령한 자는
→ 1년 이하의 징역, 300만원 이하의 벌금 또는 과료에 처한다.
(1995.12.29 개정)
② 매장물을 횡령한 자도
→ 제1항과 동일한 형에 처한다.
점유이탈물 횡령죄란?
점유이탈물 횡령죄란 다른 사람이 소유하거나 점유하고 있던 물건이 우연히 점유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이를 발견한 제3자가 몰래 차지하는 경우 성립하는 범죄입니다.
구성요건 요약
🔹 보호법익 | 타인의 소유권 및 점유권 |
🔹 객체 | 유실물, 표류물, 매장물, 타인의 점유 이탈 재물 |
🔹 주체 | 누구든지 가능 (일반인 포함) |
🔹 행위 | 재물을 발견한 후 반환하지 않고 자기 것처럼 사용하는 경우 |
🔹 고의 | 고의로 점유를 이전하여 자기 이익으로 삼으려는 영득의사 필요 |
구체적 예시
- 유실물: 길거리에 떨어진 지갑이나 핸드폰을 주워서 돌려주지 않고 사용한 경우
- 표류물: 떠내려온 나무, 고무보트, 컨테이너를 개인 소유로 삼은 경우
- 점유 이탈 재물: 택배 기사가 문 앞에 놓고 간 택배를 몰래 가져간 경우
- 매장물: 유적지나 산에서 나온 금속화폐, 고대 유물 등을 신고 없이 보관한 경우
법정형 (형량)
법정형 |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 또는 과료 |
벌금형 가능 여부 | ✔ 가능 |
집행유예 가능성 | ✔ 높음 (초범, 반성 시) |
※ 초범이고 자진 반환하거나 자백 시 → 불기소처분 또는 선고유예, 벌금형 가능성이 높습니다.
공소시효
- 공소시효는 범행 발생일로부터 5년 이내
(단, 과료나 벌금형이 선고되는 사안은 3년 적용 가능)
실제 판례
📌 서울남부지법 2021고단XXX
지하철에서 주운 지갑(현금 5만원, 카드 포함)을
반환하지 않고 사용한 사례
→ 벌금 100만원형 선고
📌 수원지법 2020고정XXX
분실된 스마트폰을 주워 사용한 사례
→ 선고유예, 피해자에 즉시 반환, 초범
자주 묻는 질문 (FAQ)
Q. 택배가 내 것인 줄 알고 가져왔는데 처벌될까요?
→ 착오에 의한 점유일 경우 범죄 성립 안 됨. 다만 고의가 있었다면 점유이탈물 횡령죄 성립.
Q. 습득 후 10일 지나서 돌려줬는데요?
→ 초기에 반환 의사가 없었다면 범죄로 볼 수 있습니다.
Q. 습득한 지갑을 파출소에 신고했는데 안 받아주면요?
→ 분실물센터나 경찰서에 신고하는 것으로 의무 이행 인정됩니다.
결론 및 마무리
“길에 떨어진 물건을 가져갔다가 처벌될 수도 있습니다.”
점유이탈물 횡령죄는 단순한 ‘줍는 행위’가 아니라, 타인의 재산권 침해로 명백한 형사범죄로 다뤄집니다.
🔎 물건을 습득했을 경우 → 반드시 경찰서 또는 분실물센터에 신고하여 법적 분쟁을 피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함께보면 도움되는 글
무고죄란? 형법 제156조 성립요건과 처벌 수위 총정리
최근 허위 신고나 거짓 고소를 통해 타인을 곤란하게 만드는 사건이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한 거짓말이 아니라, 형법에서 규정한 ‘무고죄’에 해당하며, 엄
job.actlaw89.com
명예훼손죄 성립요건과 처벌 기준(형법 제307조)
형법 제307조는 타인의 명예를 보호하기 위한 조항으로, 사실 적시든 허위사실이든 불특정 다수에게 알려지면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법률 조항입니다. 특히 인터넷, SNS, 블로
job.actlaw89.com
형법 제260조 폭행죄 및 존속폭행죄, 성립요건과 처벌
폭행죄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범죄 중 하나입니다. 특히, 가족 간의 분쟁이나 갈등에서 발생하는 존속폭행죄는 일반 폭행보다 더 무겁게 처벌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형법 제260조에 따른 폭
job.actlaw89.com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직권남용은 공무원이 자신의 직무 권한을 남용하여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러한 행위는 법적으로 매우 심각하
job.actlaw89.com
공무집행방해죄란? 형법 제136조의 성립요건과 처벌 정리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던 중 폭행이나 협박을 받는 사건은 언론에서도 종종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 폭행이 아닌 ‘공무집행방해죄’라는 독립된 범죄로 엄중히 처벌됩니다.
job.actlaw8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