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장물취득죄 vs 장물보관죄 차이점

by report89 2025. 7. 21.
반응형

장물을 다루는 범죄에는 장물취득죄장물보관죄가 있습니다. 둘 다 장물과 관련된 범죄이지만, 행위의 목적과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에서 조문과 함께 명확히 정리해드립니다.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 상담신청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법률상담 예약 신청하기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법률상담 법률 문제로 고민이신가요? 대한법률구조공단에서 무료로 법률상담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민사소송, 임대차, 개인회생 등 다양한 법률 문제에 대해 전문적인

goo.actlaw89.com

 


✅ 관련 형법 조문

형법 제362조 (장물의 취득, 알선 등)

장물을 취득, 양도, 운반 또는 보관한 자는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알선을 한 자도 동일하게 처벌한다.

※ 장물취득죄와 장물보관죄는 같은 조문(362조)에 규정되어 있으며, 행위유형에 따라 구별하여 적용됩니다.


장물취득죄란?

행위유형 장물을 자기 소유로 취득하는 행위
핵심요소 장물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이득 목적으로 취득
예시 도둑이 훔친 스마트폰인 걸 알면서도 싸게 구매한 경우

🔎 요약: 장물취득죄는 훔친 물건임을 알면서 사들였을 때 성립합니다. "내 것으로 만들었다"는 영득의사가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장물보관죄란?

행위유형 장물을 남을 위해 보관만 하는 행위
핵심요소 장물임을 알고, 자기 것이 아님에도 단순히 보관
예시 친구가 훔친 노트북을 숨겨달라고 해서 맡아준 경우

🔎 요약: 장물보관죄는 물건이 범죄로 얻어진 걸 알면서도 자기 이득 없이 보관만 한 경우에 성립됩니다.


장물취득죄와 장물보관죄 차이 정리

구분 장물취득죄 장물보관죄
목적 자기 소유로 삼음 남을 위해 보관
처벌 기준 동일 (형법 제362조) 동일 (형법 제362조)
대표 예시 훔친 시계임을 알면서 구매 친구 부탁으로 장물 잠시 맡아둠
영득의사 있음 (자기 것처럼 사용) 없음 (보관만 함)
실무상 적용 재산이득 추구 시 적용 단순 은닉이나 보관 시 적용

  


판례로 본 구별기준

  • “영득의사가 있느냐”가 판단 기준입니다.
  • 장물인 줄 알면서도 사용하거나 처분할 목적이 있으면 취득죄
  • 그저 맡아만 줬고, 이득을 취할 생각이 없었다면 보관죄

❗ 실무에서는 장물취득죄 > 장물보관죄 순으로 더 무겁게 처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공통사항

  • 두 죄 모두 장물임을 인식하고 있어야 합니다. 만약 몰랐다면 고의가 없어 무죄입니다.
  • 법정형은 동일하지만, 취득죄가 실형 가능성이 더 높음
  • 장물임을 미필적으로라도 인식한 경우 유죄로 인정될 수 있음

결론 요약

항목 장물취득죄 장물보관죄
처벌 법조 형법 제362조 형법 제362조
영득의사 있음 없음
법정형 7년 이하 징역 or 1,500만원 이하 벌금 동일
중고거래 시 주의 ‘싼값에 산 장물’이면 취득죄 가능성 장물을 대신 숨겨줬다면 보관죄

  


함께보면 도움되는 글

 

무고죄란? 형법 제156조 성립요건과 처벌 수위 총정리

최근 허위 신고나 거짓 고소를 통해 타인을 곤란하게 만드는 사건이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한 거짓말이 아니라, 형법에서 규정한 ‘무고죄’에 해당하며, 엄

job.actlaw89.com

 

명예훼손죄 성립요건과 처벌 기준(형법 제307조)

형법 제307조는 타인의 명예를 보호하기 위한 조항으로, 사실 적시든 허위사실이든 불특정 다수에게 알려지면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법률 조항입니다. 특히 인터넷, SNS, 블로

job.actlaw89.com

 

형법 제260조 폭행죄 및 존속폭행죄, 성립요건과 처벌

폭행죄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범죄 중 하나입니다. 특히, 가족 간의 분쟁이나 갈등에서 발생하는 존속폭행죄는 일반 폭행보다 더 무겁게 처벌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형법 제260조에 따른 폭

job.actlaw89.com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직권남용은 공무원이 자신의 직무 권한을 남용하여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러한 행위는 법적으로 매우 심각하

job.actlaw89.com

 

공무집행방해죄란? 형법 제136조의 성립요건과 처벌 정리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던 중 폭행이나 협박을 받는 사건은 언론에서도 종종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 폭행이 아닌 ‘공무집행방해죄’라는 독립된 범죄로 엄중히 처벌됩니다.

job.actlaw89.com

장물취득죄 vs 장물보관죄 차이점
장물취득죄 vs 장물보관죄 차이점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

<-----티스토리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