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유예와 집행유예는 형사재판에서 자주 등장하는 제도이지만, 적용 요건과 효과는 완전히 다릅니다. 선고유예는 법원이 형의 선고 자체를 일정 기간 미루는 제도이고, 집행유예는 선고된 형의 집행을 일정 기간 유예하는 제도입니다. 따라서 전과기록 여부, 취업 제한, 사회적 불이익 측면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선고유예와 집행유예의 정의, 법적 근거, 차이점, 전과기록 여부, 사례까지 정리해드립니다.
1. 선고유예란? (형법 제59조)
형법 제59조
1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자격정지 또는 벌금형을 선고할 경우, 정상 참작 사유가 뚜렷하면 2년간 선고를 유예할 수 있다.
- 형의 선고 자체를 미룸
- 유예기간(2년) 무사히 지나면 형 면소 간주 → 전과기록 남지 않음
- 사회적 불이익 최소화
2. 집행유예란? (형법 제62조)
형법 제62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금고의 형을 선고할 경우, 정상 참작 사유가 있으면 1년 이상 5년 이하의 기간 형 집행을 유예할 수 있다.
- 형은 선고되지만, 집행을 일정 기간 미룸
- 유예기간 무사히 지나면 형의 집행이 면제됨
- 다만, 전과기록에 남음 → 취업·자격 제한 영향 큼
3. 선고유예 vs 집행유예 차이
구분 | 선고유예 | 집행유예 |
법적 근거 | 형법 제59조 | 형법 제62조 |
대상 형량 | 1년 이하 징역·금고, 벌금 등 | 3년 이하 징역·금고 |
선고 여부 | ❌ 선고 자체 유예 | ⭕ 선고 후 집행만 유예 |
전과기록 | ❌ 남지 않음 | ⭕ 남음 |
효과 | 2년 지나면 면소 간주 | 유예기간 지나면 집행 면제 |
사회적 불이익 | 적음 | 큼 |
4. 사례로 이해하기
- 선고유예 사례: 술에 취해 경미한 폭행 사건 → 피해자와 합의 → 초범 → 법원이 선고유예 결정
- 집행유예 사례: 음주운전 2회 적발, 징역 1년 6월 선고 → 초범 아님 → 다만 반성 참작 → 집행유예 2년
5. 핵심 정리
- 선고유예 = 형 자체를 선고하지 않음 → 전과기록 X
- 집행유예 = 형은 선고, 집행만 미룸 → 전과기록 O
- 사회적 불이익은 집행유예 > 선고유예
- 따라서, 초범·경미 사건은 보통 선고유예, 재범·중대한 사건은 집행유예 가능
추천 제목
- 선고유예 집행유예 차이, 전과기록과 효과 완벽 정리
- 형법에서 선고유예 vs 집행유예, 무엇이 다른가?
- 선고유예와 집행유예 차이, 사례와 전과기록까지 총정리
함께보면 도움되는 글
무고죄란? 형법 제156조 성립요건과 처벌 수위 총정리
최근 허위 신고나 거짓 고소를 통해 타인을 곤란하게 만드는 사건이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한 거짓말이 아니라, 형법에서 규정한 ‘무고죄’에 해당하며, 엄
job.actlaw89.com
명예훼손죄 성립요건과 처벌 기준(형법 제307조)
형법 제307조는 타인의 명예를 보호하기 위한 조항으로, 사실 적시든 허위사실이든 불특정 다수에게 알려지면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법률 조항입니다. 특히 인터넷, SNS, 블로
job.actlaw89.com
형법 제260조 폭행죄 및 존속폭행죄, 성립요건과 처벌
폭행죄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범죄 중 하나입니다. 특히, 가족 간의 분쟁이나 갈등에서 발생하는 존속폭행죄는 일반 폭행보다 더 무겁게 처벌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형법 제260조에 따른 폭
job.actlaw89.com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직권남용은 공무원이 자신의 직무 권한을 남용하여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러한 행위는 법적으로 매우 심각하
job.actlaw89.com
공무집행방해죄란? 형법 제136조의 성립요건과 처벌 정리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던 중 폭행이나 협박을 받는 사건은 언론에서도 종종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 폭행이 아닌 ‘공무집행방해죄’라는 독립된 범죄로 엄중히 처벌됩니다.
job.actlaw8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