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에 대한 처벌은 법으로 정해져 있지만,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면 법률이 직접 정한 기준에 따라 형을 줄여주는 제도가 있습니다. 이를 ‘법률상 감경’이라 하며, 형법 제55조에 구체적인 기준이 규정돼 있습니다. 정상참작 감경(재량 감경)과 달리 법률상 감경은 법이 정한 요건을 충족하면 반드시 감경해야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법률상 감경의 정의, 형법 제55조 내용, 주요 감경 범위와 정상참작 감경과의 차이를 정리합니다.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법률상담 예약 신청하기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법률상담 법률 문제로 고민이신가요? 대한법률구조공단에서 무료로 법률상담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민사소송, 임대차, 개인회생 등 다양한 법률 문제에 대해 전문적인
goo.actlaw89.com
1. 법률상 감경이란? (정의)
법률상 감경이란 법이 정한 일정한 사유가 있을 때 법정형 자체를 낮춰 적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판사의 재량이 아니라 법률 규정에 따른 필요적 감경이므로, 요건을 충족하면 반드시 적용해야 합니다.
2. 형법 제55조(법률상의 감경) 조문
형법 제55조(법률상의 감경)
① 법률상의 감경은 다음과 같다.
- 사형을 감경할 때에는 무기 또는 20년 이상 50년 이하의 징역 또는 금고로 한다.
- 무기징역 또는 무기금고를 감경할 때에는 10년 이상 50년 이하의 징역 또는 금고로 한다.
- 유기징역 또는 유기금고를 감경할 때에는 그 형기의 2분의 1로 한다.
- 자격상실을 감경할 때에는 7년 이상의 자격정지로 한다.
- 자격정지를 감경할 때에는 그 형기의 2분의 1로 한다.
- 벌금을 감경할 때에는 그 다액의 2분의 1로 한다.
- 구류를 감경할 때에는 그 장기의 2분의 1로 한다.
- 과료를 감경할 때에는 그 다액의 2분의 1로 한다.
② 법률상 감경할 사유가 수개 있는 때에는 거듭 감경할 수 있다.
3. 법률상 감경과 정상참작 감경 비교
구분 | 법률상 감경 | 정상참작 감경 |
근거 | 형법 제55조 | 형법 제53조 |
성격 | 필요적(법이 정한 경우 반드시 감경) | 임의적(판사의 재량) |
감경범위 | 법이 구체적으로 규정(예: 1/2 감경, 기간 하향) | 판사가 상황에 따라 결정 |
예시 | 미수범·심신미약·농아자·자수 등 | 초범·합의·배상·깊은 반성 등 |
4. 법률상 감경 주요 적용 예시
- 미수범: 범죄를 실행했지만 결과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 심신미약자: 범행 당시 책임능력이 현저히 떨어진 경우
- 농아자: 의사소통 능력이 제한된 상태에서 범행한 경우
- 자수·자복: 수사기관에 스스로 신고하거나 범행을 자백한 경우
이런 사유는 형법 각칙이나 총칙에서 규정돼 있고, 법원이 반드시 법률상 감경을 적용해야 합니다.
5. 핵심 정리
- 법률상 감경은 법이 정한 요건 충족 시 필요적으로 형을 낮추는 제도
- 형법 제55조에 감경기준이 구체적으로 명시
- 정상참작 감경(임의 감경)과 구별해야 하며, 감경 사유가 여러 개인 경우 거듭 감경 가능
추천 제목
- 형법 제55조 법률상 감경, 정의와 기준 총정리
- 법률상 감경 vs 정상참작 감경 차이 쉽게 이해하기
- 법률상 감경 사유와 감경 범위, 실제 적용 사례
함께보면 도움되는 글
무고죄란? 형법 제156조 성립요건과 처벌 수위 총정리
최근 허위 신고나 거짓 고소를 통해 타인을 곤란하게 만드는 사건이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한 거짓말이 아니라, 형법에서 규정한 ‘무고죄’에 해당하며, 엄
job.actlaw89.com
명예훼손죄 성립요건과 처벌 기준(형법 제307조)
형법 제307조는 타인의 명예를 보호하기 위한 조항으로, 사실 적시든 허위사실이든 불특정 다수에게 알려지면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법률 조항입니다. 특히 인터넷, SNS, 블로
job.actlaw89.com
형법 제260조 폭행죄 및 존속폭행죄, 성립요건과 처벌
폭행죄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범죄 중 하나입니다. 특히, 가족 간의 분쟁이나 갈등에서 발생하는 존속폭행죄는 일반 폭행보다 더 무겁게 처벌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형법 제260조에 따른 폭
job.actlaw89.com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직권남용은 공무원이 자신의 직무 권한을 남용하여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러한 행위는 법적으로 매우 심각하
job.actlaw89.com
공무집행방해죄란? 형법 제136조의 성립요건과 처벌 정리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던 중 폭행이나 협박을 받는 사건은 언론에서도 종종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 폭행이 아닌 ‘공무집행방해죄’라는 독립된 범죄로 엄중히 처벌됩니다.
job.actlaw8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