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 관련 기사나 판결문에서 벌금과 과료라는 단어를 종종 보셨을 거예요. 얼핏 비슷해 보이지만, 형벌의 종류와 금액, 적용되는 범죄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오늘은 벌금과 과료의 차이, 특징, 사회적 영향을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형법상 벌금과 과료
형법 제41조에서 정한 형벌의 종류 중 두 가지입니다.
- 벌금: 제6호
- 과료: 제8호
🔹벌금이란?
벌금은 범죄에 대한 금전적 제재로, 형법 제45조에서 규정합니다.
✔ 형법 제45조(벌금)
“벌금은 5만원 이상으로 한다. 다만, 감경하는 경우에는 5만원 미만으로 할 수 있다.”
특징
- 형벌에 해당 (전과 기록 남음)
- 범죄의 경중에 따라 금액 조정 가능
- 교정시설에 구금되지 않고 금전 납부로 끝남
- 미납 시 노역장 유치 가능
예시: 음주운전, 절도, 사기 등 비교적 중대한 범죄
🔹과료란?
과료는 벌금보다 훨씬 가벼운 금전형으로, 형법 제47조에서 규정합니다.
✔ 형법 제47조(과료)
“과료는 2천원 이상 5만원 미만으로 한다.”
특징
- 경미한 범죄에 대한 금전벌
- 금액이 매우 낮음 (2천원~5만원)
- 벌금과 마찬가지로 전과 기록은 남음
- 미납 시 노역장 유치 가능
예시: 경범죄, 가벼운 질서 위반
벌금 vs 과료 차이 표
구분 | 벌금 | 과료 |
금액 범위 | 5만원 이상 | 2천원 이상 5만원 미만 |
대상 범죄 | 중대 범죄 (음주운전 등) | 경범죄 (질서위반 등) |
형벌 여부 | 형벌 (전과 기록 남음) | 형벌 (전과 기록 남음) |
미납 시 | 노역장 유치 | 노역장 유치 |
벌금과 과료, 사회적 영향
- 둘 다 전과 기록에 남기 때문에, 취업, 자격제한 등에서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 특히 공무원, 변호사, 교사 등 법률·공직 관련 직종은 주의 필요!
📌 마무리 한 줄 정리
- 벌금: 중대한 범죄, 5만원 이상
- 과료: 경미한 범죄, 5만원 미만
함께보면 도움되는 글
무고죄란? 형법 제156조 성립요건과 처벌 수위 총정리
최근 허위 신고나 거짓 고소를 통해 타인을 곤란하게 만드는 사건이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한 거짓말이 아니라, 형법에서 규정한 ‘무고죄’에 해당하며, 엄
job.actlaw89.com
명예훼손죄 성립요건과 처벌 기준(형법 제307조)
형법 제307조는 타인의 명예를 보호하기 위한 조항으로, 사실 적시든 허위사실이든 불특정 다수에게 알려지면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법률 조항입니다. 특히 인터넷, SNS, 블로
job.actlaw89.com
형법 제260조 폭행죄 및 존속폭행죄, 성립요건과 처벌
폭행죄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범죄 중 하나입니다. 특히, 가족 간의 분쟁이나 갈등에서 발생하는 존속폭행죄는 일반 폭행보다 더 무겁게 처벌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형법 제260조에 따른 폭
job.actlaw89.com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직권남용은 공무원이 자신의 직무 권한을 남용하여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러한 행위는 법적으로 매우 심각하
job.actlaw89.com
공무집행방해죄란? 형법 제136조의 성립요건과 처벌 정리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던 중 폭행이나 협박을 받는 사건은 언론에서도 종종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 폭행이 아닌 ‘공무집행방해죄’라는 독립된 범죄로 엄중히 처벌됩니다.
job.actlaw8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