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단 주거침입죄는 단순히 남의 집에 들어가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현행 형법은 사람이 주거로 사용하는 공간 또는 점유 중인 방실에 허락 없이 들어간 경우를 모두 처벌 대상으로 규정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무단 주거침입의 법적 범위, 어디까지가 주거로 인정되는지, 그리고 주의할 실제 사례를 정리해 드립니다.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법률상담 예약 신청하기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법률상담 법률 문제로 고민이신가요? 대한법률구조공단에서 무료로 법률상담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민사소송, 임대차, 개인회생 등 다양한 법률 문제에 대해 전문적인
goo.actlaw89.com
형법 제319조 – 주거침입죄 조문
형법 제319조(주거침입, 퇴거불응)
타인의 주거, 관리하는 건조물, 선박이나 항공기, 또는 점유하는 방실에 무단으로 침입한 자는
→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 여기서 핵심 키워드는 "주거, 점유, 무단 침입"입니다.
무단 주거침입 인정 범위
남의 집(현관문 열고 진입) | ✅ 유죄 | 명백한 주거공간 침입 |
고시원, 모텔 등 임시숙소 | ✅ 유죄 | 점유 중인 방실로 인정 |
공동현관 진입 후 퇴근자 대기 | ⛔ 무죄 가능성 | 거주지 내부 침입이 없으면 미성립 가능 |
사무실, 창고 등 업무공간 | ⛔ 경우에 따라 다름 | 업무방해죄 또는 건조물침입죄 성립 가능 |
옥상, 베란다, 복도 침입 | ⚠️ 경우에 따라 다름 | 실질적 주거 영역 포함 시 유죄 가능 |
✔️ 피해자가 실제 거주 중이거나 점유 중인 공간이라면 실제 생활공간이 아니더라도 주거침입죄 성립 가능합니다.
실제 판례로 본 무단 주거침입 인정 사례
📍 서울중앙지법 2020고단XXXX
- 피고인이 전 애인의 고시원 호실에 비밀번호를 이용해 침입
➡ 고시원도 점유 중인 방실로 인정 → 유죄
➡ 벌금 200만원 선고
📍 대구지법 2021고정XXXX
- 아파트 공동현관 들어가 피해자 집 앞에서 기다림
➡ 실내 침입 없음 → 주거침입죄 미성립
자주 묻는 질문 (FAQ)
❓ 비밀번호를 알고 들어갔는데요?
→ 동의 없이 들어갔다면 무단 침입으로 처벌 가능합니다.
❓ 잠깐 들어갔다 나왔는데도요?
→ 시간과 무관하게 침입의 순간에 죄는 성립합니다.
❓ 친구 집인데 들어가도 되지 않나요?
→ 주거의 평온이 깨졌다면 형사처벌 가능합니다.
특히 이별 후 집에 찾아가거나, 다툰 뒤 무단 침입 시 유죄 가능성 높습니다.
무단 주거침입 처벌 피하려면?
✔️ 피해자와의 합의 (합의서 + 처벌불원서 제출)
✔️ 초범이면 기소유예 가능성 고려
✔️ 반성문, 탄원서 준비
✔️ 실제로 주거인지 여부에 대한 법적 판단 중요 (단순 공간은 제외 가능)
마무리: 무단 주거침입, 경계가 넓습니다
주거침입죄는 '실제 주거 공간'만이 아니라, 점유 중인 방실, 고시원, 모텔, 심지어 창문이나 베란다까지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무단 주거침입으로 형사처벌을 피하려면 행위 당시 상황, 피해자와의 관계, 공간의 성격 등을 면밀히 살펴야 하며, 필요 시 법률 전문가 조력도 꼭 고려해야 합니다.
키워드 요약:
무단 주거침입 범위, 주거침입 인정기준, 형법 제319조,
주거침입죄 처벌, 주거침입 사례, 고시원 침입 처벌, 공동현관 침입
함께보면 도움되는 글
무고죄란? 형법 제156조 성립요건과 처벌 수위 총정리
최근 허위 신고나 거짓 고소를 통해 타인을 곤란하게 만드는 사건이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한 거짓말이 아니라, 형법에서 규정한 ‘무고죄’에 해당하며, 엄
job.actlaw89.com
명예훼손죄 성립요건과 처벌 기준(형법 제307조)
형법 제307조는 타인의 명예를 보호하기 위한 조항으로, 사실 적시든 허위사실이든 불특정 다수에게 알려지면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법률 조항입니다. 특히 인터넷, SNS, 블로
job.actlaw89.com
형법 제260조 폭행죄 및 존속폭행죄, 성립요건과 처벌
폭행죄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범죄 중 하나입니다. 특히, 가족 간의 분쟁이나 갈등에서 발생하는 존속폭행죄는 일반 폭행보다 더 무겁게 처벌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형법 제260조에 따른 폭
job.actlaw89.com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직권남용은 공무원이 자신의 직무 권한을 남용하여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러한 행위는 법적으로 매우 심각하
job.actlaw89.com
공무집행방해죄란? 형법 제136조의 성립요건과 처벌 정리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던 중 폭행이나 협박을 받는 사건은 언론에서도 종종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 폭행이 아닌 ‘공무집행방해죄’라는 독립된 범죄로 엄중히 처벌됩니다.
job.actlaw8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