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상담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누범이란? 형법상 정의와 적용 기준

by report89 2025. 8. 22.
반응형

형법에서 말하는 누범은 단순히 전과가 있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일정 요건을 충족해야 가중처벌이 가능하죠. 형법 제35조에 따라 누범의 의미와 조건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 상담신청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법률상담 예약 신청하기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법률상담 법률 문제로 고민이신가요? 대한법률구조공단에서 무료로 법률상담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민사소송, 임대차, 개인회생 등 다양한 법률 문제에 대해 전문적인

goo.actlaw89.com

 


1. 누범이란?

형법 제35조 제1항에 따르면, 누범이란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아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면제된 후 3년 이내에 다시 금고 이상에 해당하는 죄를 범한 경우”

즉, 두 가지 요건을 모두 만족해야 합니다.
✔ 이전 범죄 → 금고 이상 형 선고 + 집행 종료/면제
✔ 다시 저지른 범죄 → 금고 이상에 해당


2. 누범의 형사처벌 기준

형법 제35조 제2항:

“누범의 형은 그 죄에 대하여 정한 형의 장기의 2배까지 가중한다.”

예시:

  • 특정 범죄 법정형이 징역 3년 이하
  • 누범 적용 → 징역 6년 이하로 상향 가능

3. 누범기간은 언제부터 언제까지?

  • 시작 시점: 형의 집행 종료일 또는 면제일
  • 기간: 3년간
  • 집행유예 확정 시 → 유예기간 끝난 날부터 3년간 누범기간

4. 벌금형 전과는 누범일까?

아니요.
벌금형만 받은 경우는 누범이 성립하지 않습니다.
누범은 금고 이상의 형에서만 적용됩니다.


5. 누범 예시 사례

  • 징역 1년 → 집행유예 2년 → 집행유예 기간 종료 후 3년 내 새 범죄(금고 이상) → 누범 적용
  • 벌금형 전과 → 새 범죄 → 누범 아님

🔍 더 깊이 알아볼 주제

누범기간 중 음주운전 → 가중처벌 가능?
집행유예 중 범죄 → 누범 성립 여부
누범과 상습범 차이


함께보면 도움되는 글

 

무고죄란? 형법 제156조 성립요건과 처벌 수위 총정리

최근 허위 신고나 거짓 고소를 통해 타인을 곤란하게 만드는 사건이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한 거짓말이 아니라, 형법에서 규정한 ‘무고죄’에 해당하며, 엄

job.actlaw89.com

 

명예훼손죄 성립요건과 처벌 기준(형법 제307조)

형법 제307조는 타인의 명예를 보호하기 위한 조항으로, 사실 적시든 허위사실이든 불특정 다수에게 알려지면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법률 조항입니다. 특히 인터넷, SNS, 블로

job.actlaw89.com

 

형법 제260조 폭행죄 및 존속폭행죄, 성립요건과 처벌

폭행죄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범죄 중 하나입니다. 특히, 가족 간의 분쟁이나 갈등에서 발생하는 존속폭행죄는 일반 폭행보다 더 무겁게 처벌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형법 제260조에 따른 폭

job.actlaw89.com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직권남용은 공무원이 자신의 직무 권한을 남용하여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러한 행위는 법적으로 매우 심각하

job.actlaw89.com

 

공무집행방해죄란? 형법 제136조의 성립요건과 처벌 정리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던 중 폭행이나 협박을 받는 사건은 언론에서도 종종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 폭행이 아닌 ‘공무집행방해죄’라는 독립된 범죄로 엄중히 처벌됩니다.

job.actlaw89.com

누범이란? 형법상 정의와 적용 기준
누범이란? 형법상 정의와 적용 기준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

<-----티스토리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