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범은 단순히 같은 죄를 반복했을 때만 적용되는 걸까요? 결론부터 말하면 아닙니다. 형법은 누범을 다른 종류의 범죄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법률상담 예약 신청하기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법률상담 법률 문제로 고민이신가요? 대한법률구조공단에서 무료로 법률상담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민사소송, 임대차, 개인회생 등 다양한 법률 문제에 대해 전문적인
goo.actlaw89.com
1. 누범이란? (형법 제35조)
형법 제35조에 따르면,
-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종료 또는 면제된 후
- 3년 내에 금고 이상에 해당하는 죄를 다시 범한 경우
→ 누범으로 처벌 (형의 장기 2배까지 가중)
✅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같은 범죄”가 아니라 “금고 이상에 해당하는 모든 죄”라는 점입니다.
2. 누범기간, 다른 죄로 인정되는 경우
형법은 범죄의 종류를 한정하지 않습니다.
즉, 첫 번째 범죄와 두 번째 범죄가 다르더라도 모두 금고 이상 형의 범죄라면 누범으로 인정됩니다.
✔ 예시
- 사기죄(징역 1년 선고 → 집행 종료) 후 2년 내 절도죄 → 누범
- 폭행죄(벌금형) → 이후 강도죄 → 누범 ❌ (벌금형은 금고 이상 아님)
3. 다른 죄 누범 인정의 핵심 조건
- ① 전과 범죄와 후행 범죄가 모두 금고 이상에 해당
- ② 전과 범죄의 형 집행이 종료되거나 면제된 후 3년 이내
- ③ 두 범죄가 동일한 법익을 침해할 필요는 없음 (예: 재산 vs 신체)
4. 예외 상황
- 벌금형은 누범 기준이 아님
- 전과 형의 집행유예 기간 중 새 범죄 → 누범이 아니라 집행유예 취소
- 특가법, 도로교통법 등에서 별도 가중 규정이 있는 경우는 형법상 누범과 별도로 적용
5. 판례 포인트
- 대법원: “형법 제35조의 누범은 동일범죄 여부를 묻지 않는다.”
- 즉, 이질적 범죄 간에도 누범 가능 (예: 강간 → 절도)
핵심 요약
- 누범기간 3년은 다른 죄에도 적용
- 단, 금고 이상 형을 받아야 함
- 범죄 유형 다르더라도 누범 인정 가능
함께보면 도움되는 글
무고죄란? 형법 제156조 성립요건과 처벌 수위 총정리
최근 허위 신고나 거짓 고소를 통해 타인을 곤란하게 만드는 사건이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한 거짓말이 아니라, 형법에서 규정한 ‘무고죄’에 해당하며, 엄
job.actlaw89.com
명예훼손죄 성립요건과 처벌 기준(형법 제307조)
형법 제307조는 타인의 명예를 보호하기 위한 조항으로, 사실 적시든 허위사실이든 불특정 다수에게 알려지면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법률 조항입니다. 특히 인터넷, SNS, 블로
job.actlaw89.com
형법 제260조 폭행죄 및 존속폭행죄, 성립요건과 처벌
폭행죄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범죄 중 하나입니다. 특히, 가족 간의 분쟁이나 갈등에서 발생하는 존속폭행죄는 일반 폭행보다 더 무겁게 처벌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형법 제260조에 따른 폭
job.actlaw89.com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직권남용은 공무원이 자신의 직무 권한을 남용하여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러한 행위는 법적으로 매우 심각하
job.actlaw89.com
공무집행방해죄란? 형법 제136조의 성립요건과 처벌 정리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던 중 폭행이나 협박을 받는 사건은 언론에서도 종종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 폭행이 아닌 ‘공무집행방해죄’라는 독립된 범죄로 엄중히 처벌됩니다.
job.actlaw8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