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범기간은 형법에서 누범이 성립하는지 판단하는 핵심 기준입니다. 누범이 인정되면 형이 무겁게 가중되므로, 기간 계산은 매우 중요합니다.
1. 누범기간의 뜻
✅ 누범기간이란
이전 범죄의 형 집행이 종료되거나 면제된 후, 다시 새로운 범죄를 저지를 때까지의 기간
형법 제35조에 따르면, 이 기간이 3년 이내이면 누범으로 인정됩니다.
2. 누범기간 규정 (형법 제35조)
형법 제35조(누범)
①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아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면제된 후 3년 내에 금고 이상에 해당하는 죄를 지은 사람은 누범으로 처벌한다.
✔ 핵심:
- 누범기간 = 3년
- 기산점 = 형 집행 종료일 또는 면제일
3. 누범기간 계산 방법
✔ 기준점
- 형의 집행 종료일: 실형 복역이 끝난 날
- 형의 집행 면제일: 가석방 후 잔형이 면제된 날
✔ 계산 예시
- A가 2020년 1월 1일에 출소 → 2023년 1월 1일까지 범행 시 누범 O
- B가 2020년 1월 1일에 출소, 2023년 2월 1일 범행 → 누범 X (기간 경과)
4. 누범기간과 집행유예
- 집행유예는 형 집행이 실제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집행유예 기간 만료 후 누범기간이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 집행유예 판결이 확정된 때가 기준이 아님. → 실형 선고가 없으므로 누범 성립 X
5. 누범기간 예외
- 벌금형은 해당 X
- 금고 이상만 누범기간 계산 대상
핵심 요약
- 누범기간 = 형 집행 종료일 또는 면제일 이후 3년
- 이 안에 금고 이상 범죄를 저지르면 누범 가중 가능
- 벌금형은 해당 없음
함께보면 도움되는 글
무고죄란? 형법 제156조 성립요건과 처벌 수위 총정리
최근 허위 신고나 거짓 고소를 통해 타인을 곤란하게 만드는 사건이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한 거짓말이 아니라, 형법에서 규정한 ‘무고죄’에 해당하며, 엄
job.actlaw89.com
명예훼손죄 성립요건과 처벌 기준(형법 제307조)
형법 제307조는 타인의 명예를 보호하기 위한 조항으로, 사실 적시든 허위사실이든 불특정 다수에게 알려지면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법률 조항입니다. 특히 인터넷, SNS, 블로
job.actlaw89.com
형법 제260조 폭행죄 및 존속폭행죄, 성립요건과 처벌
폭행죄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범죄 중 하나입니다. 특히, 가족 간의 분쟁이나 갈등에서 발생하는 존속폭행죄는 일반 폭행보다 더 무겁게 처벌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형법 제260조에 따른 폭
job.actlaw89.com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직권남용은 공무원이 자신의 직무 권한을 남용하여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러한 행위는 법적으로 매우 심각하
job.actlaw89.com
공무집행방해죄란? 형법 제136조의 성립요건과 처벌 정리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던 중 폭행이나 협박을 받는 사건은 언론에서도 종종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 폭행이 아닌 ‘공무집행방해죄’라는 독립된 범죄로 엄중히 처벌됩니다.
job.actlaw8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