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상담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누범기간과 집행유예, 어떻게 적용될까?

by report89 2025. 8. 22.
반응형

누범기간(3년) 규정은 형의 집행 종료나 면제 이후부터 시작됩니다. 그런데 집행유예를 받은 경우, 누범기간은 어떻게 계산할까요?


1. 형법 제35조 누범 규정 요약

  • 누범이란?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집행이 종료되거나 면제된 후 3년 내에
    다시 금고 이상에 해당하는 범죄를 저지르면 누범으로 가중처벌
    (형의 장기 2배까지 가중 가능)

2. 집행유예 시 누범기간 계산

집행유예는 ‘집행이 면제된 것’으로 본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즉, 집행유예 선고 확정일이 누범기간의 시작점이 됩니다.

✔ 예시

  •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 선고 확정일: 2023.1.1.
  • 누범기간 시작: 2023.1.1.
  • 누범기간 종료: 2026.1.1.
    즉, 유예기간이 끝나기를 기다리지 않습니다.

3. 누범 인정 요건 (집행유예 포함)

  • 전과 형이 금고 이상
  • 집행유예 선고 확정 후 3년 이내 새 범죄 발생
  • 새 범죄 역시 금고 이상에 해당

4. 판례 포인트

대법원:
“집행유예는 형의 집행을 유예하여 사실상 집행을 면제한 것과 같으므로, 집행유예 확정일부터 누범기간이 기산된다.”


5. 자주 묻는 질문

Q. 집행유예 기간 중 새 범죄를 저지르면?
→ 누범이 아니라 집행유예 취소 + 새로운 범죄 처벌
단, 선고 확정 후 3년 이내면 새 범죄는 누범 가중 적용 가능


핵심 요약

  • 누범기간은 집행유예 확정일부터 3년
  • 유예기간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지 않음
  • 새 범죄가 금고 이상이면 누범 가중 가능

함께보면 도움되는 글

 

무고죄란? 형법 제156조 성립요건과 처벌 수위 총정리

최근 허위 신고나 거짓 고소를 통해 타인을 곤란하게 만드는 사건이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한 거짓말이 아니라, 형법에서 규정한 ‘무고죄’에 해당하며, 엄

job.actlaw89.com

 

명예훼손죄 성립요건과 처벌 기준(형법 제307조)

형법 제307조는 타인의 명예를 보호하기 위한 조항으로, 사실 적시든 허위사실이든 불특정 다수에게 알려지면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법률 조항입니다. 특히 인터넷, SNS, 블로

job.actlaw89.com

 

형법 제260조 폭행죄 및 존속폭행죄, 성립요건과 처벌

폭행죄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범죄 중 하나입니다. 특히, 가족 간의 분쟁이나 갈등에서 발생하는 존속폭행죄는 일반 폭행보다 더 무겁게 처벌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형법 제260조에 따른 폭

job.actlaw89.com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

공무원 직권남용 성립요건과 처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직권남용은 공무원이 자신의 직무 권한을 남용하여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러한 행위는 법적으로 매우 심각하

job.actlaw89.com

 

공무집행방해죄란? 형법 제136조의 성립요건과 처벌 정리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던 중 폭행이나 협박을 받는 사건은 언론에서도 종종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 폭행이 아닌 ‘공무집행방해죄’라는 독립된 범죄로 엄중히 처벌됩니다.

job.actlaw89.com

누범기간과 집행유예, 어떻게 적용될까?
누범기간과 집행유예, 어떻게 적용될까?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

<-----티스토리 목차------>